지하철 정기권으로 출퇴근 교통비 절약하는 방법

지하철 정기권으로 출퇴근 교통비 절약하는 방법

저는 당고개부터 판교까지 장거리로 지하철 출퇴근을 합니다. 1시간 반정도 걸리는 출근 거리입니다. 그래서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 달 비용이 약 138,000원가량 나옵니다. 아무래도 장거리다 보니 비용이 꽤 나오는 편이죠.

얼마 전에 우연찮게 TV 프로를 보는데, 외국인이 지하철에서 종일권 같은 걸 구매하는 걸 보았습니다.
그걸 보니, 예전에 지하철 정기권이 있다는 이야기를 얼핏 들은 기억났습니다. 그래서 좀 찾아보았습니다.

정기권 115,900원(거리비례용 16단계)을 내면 한 달 동안 총 60회가 이용이 가능하더군요.
출퇴근하는데 보통 40회정도 사용하는데, 20회가 남으니까 출퇴근뿐 아니라 다른데 갈때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엄청 절약이 되는겁니다.
138,000원 – 115,900원 = 22,100원 절약이 되는군요. 거기에 20회나 더 쓸수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지하철 정기권을 알아보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하철 정기권의 종류

지하철 정기권은 서울 전용거리비례용 두가지 있습니다.

서울 전용은 말그대로 서울에서만 이용하는 지하철인데요. 61,600원으로 30일간 60회 이용이 가능합니다.

거리비례용은 서울을 벗어난 수도권전철 전 구간을 이용하는 요금인데요. 거리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1단계 61,600원부터 18단계 123,400원까지 있으며 마찬가지로 30일간 60회 이용이 가능합니다.

서울교통공사 승차권안내

출퇴근 거리 측정방법

보다 보면, 나의 출퇴근 거리가 얼마인지 어떻게 알지?라는 생각이 들 겁니다.
그래서 이 거리를 알 수 있게 알려주는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이 있습니다.

원하는 역에서 출발하여 도착 역을 찍으면 아래와 같이 어떠한 정기권이 필요한지 알려줍니다. 저는 16단계네요. (판교는 신분당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좀 높긴 합니다.)

지하철 정기권 거리비례 알기

동두천인 마지막역 소요산역에서 용인 에버랜드역까지 정기권이 108,500원(거리비례용 14단계)인걸 보면, 신분당선이 좀 가격이 나가긴 하네요.

정기권 구매방법

이게 좀 불편한데, 예전에는 역마다 역무소가 있어서 바로 구매가 가능한데, 역근처에서 역무소 역할을 하는 곳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역무소나 지하철 안내소 또는 고객안전실, 고객센터에 정기권은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정기권 카드는 2500원입니다.(현찰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 사면 평생 쓸 수 있으니깐 더 이상 역무소에 올릴 은 없습니다.

정기권 충전

앞에서 보셨듯이, 정기권 카드만을 구매하였기 때문에 충전을 해야합니다.
충전은 일반 교통카드 충전소에 가셔서 하시면 됩니다.

본인의 단계를 설정하고 본인이 사용하고 싶은 날짜를 넣어서 사용일자를 정할 수 있습니다.
즉, 매월 1일부터 하고 싶다면, 다음 달 1일부터 설정하면 됩니다. (기억하기 쉽게 1일부터가 좋습니다.)

참고사항

정기권이라고 해서 내가 다니는 구간에서만 이용이 가능한 게 아니니 지하철을 타시면 아무 곳이나 다 이용하시면 됩니다.(거리에 따라 차감된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만일 정기권을 40회 이하로 사용하였다면, 남은 비용에 대해서도 환불이 가능하다는 것 또한, 좋은 장점인데요. 다만, 구입했던 가격보다는 반환비용은 약간 적다는 걸로 아시면 됩니다.(계산방법이 있는데, 복잡해서 그냥 역무원에게 남은 금액 환불 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환불 역시 역무소나, 고객센터, 지하철 안내소등에 가시면 환불이 가능합니다.

국세청 홈텍스에서 정기권 카드를 등록하면 현금영수증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버스 환승하시는 분들은 지하철 정기권은 해당이 되질 않습니다.

어린이용 정기권은 따로 존재하지 않다는거 아시기 바랍니다.
어린이는 워낙 저렴하니, 정기권보다는 어린이용 교통 카드를 구매하시는게 이득입니다.

PS. 최근에 저는 정기권 9단계로 변경하였습니다. 출근 때는 신사~판교로 가는 코스로 가고 퇴근할 때는 판교~양재에서 갈아타는 것으로 하니 훨씬 비용이 저렴하게 드네요. 다만, 신사~판교 코스는 16단계가 아니다보니, 1회가 더 차감됩니다. 그래도 어차피 60회이고, 20회 출근길이 40회가 되니깐, 퇴근길 20회면 딱 맞네요.

Leave a Comment